DB하이텍은 자사 근로자, 협력업체, 지역사회 등의 안전보건 위험 발생 가능성이 있는 모든 이해관계자를 포함하여 매년 “재해 Zero化”를 목표로 전사 안전 보건 활동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가로로 스와이프하여
내용을 확인해주세요.
| 전략 방향 | 목표 |
|---|---|
| 안전환경 Risk 인식제고 안전환경 Risk 예방활동 | 안전 환경법규 위반 “ZERO” 소방시설 감시 및 대응 고도화 위험성평가 확대 |
DB하이텍은 안전한 환경을 위해 사전 예방활동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며, 비상사태 대응 역량을 강화해 나갑니다.
전사 비상대피훈련(연 1회)
기숙사 대피훈련
클린룸 비상대피훈련(월 1회)
자위소방대 훈련(심폐소생술, 보호구 등)
*2024년도 기준
업무연속성 경영시스템은(ISO22301) 각종 재난 및 재해로 인해 기업의 핵심 기능이 마비되고 붕괴되었을 때 조속한 시일 내에 복구하고 정상운영 될 수 있도록 관리체계를 마련하는 경영시스템으로 DB하이텍은 위기관리능력의 경쟁력을 더욱 견고히 하여 고객에게 신뢰받는 회사로 자리매김 하겠습니다.
DB HiTek은 ‘좋은기업’의 기업이념과 “Great People, Great Technology”의 비전을 기반으로 고객과 이해관계자에게 각종 재난 및 사고로 인한 피해의 최소화와 신속한 핵심업무 재개를 통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업무 연속성 경영시스템을 수립하고, 주기적 검토로 지속적인 개선을 추구한다.
November. 2023
DB하이텍은 업무연속성 경영시스템으로 부서별 업무영향분석을 통해 핵심업무를 도출하여 경영검토 후 PDCA절차에 의거 업무연속성에 대해 관리하고 있습니다.
ISO 22301
반도체 생산을 위한 웨이퍼의 가공
DB하이텍은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전 근로자를 대상으로 유해요인 조사와 정밀 분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DB하이텍은 2022년에 14개 공정 부서를 대상으로 인간공학적 분석(RULA 2) , REBA 3), NLE 4)) 방법을 활용하여 유해요인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산업 재해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개선을 실시하였습니다. 작업의 위험 정도, 개선의 현실성, 효과 등을 고려하여 우선 순위를 평가 하였고, 시행 시기, 단계의 분포에 따라 단기, 중기로 나누어 적용하였습니다. 근골격계질환의 예방은 단기가 이루어 질 수 없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스트레칭 특강을 개설하여 많은 임직원들이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정보와 스트레칭 방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근골격계질환: 반복적인 동작, 부적절한 작업자세 등의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건강 장해
RULA(Rapid Upper Limb Assessment): 어깨, 팔목, 손목, 목 등 상체작업 자세 평가 기법
REBA(Rapid Entire Body Assessment): 몸 전체 작업 자세 평가 기법
NLE(NIOSH Lifting Equation): 중량물 들기 작업에 대한 평가 도구
장시간 서서 근무하는 인원을 위한 ‘피로예방매트’ 설치
일반 커터칼에서 안전칼로 변경하여 손베임 예방
| 구분 | 2024 | 2023 | 2022 |
|---|---|---|---|
| 목표 | 0.00 | 0.00 | 0.00 |
| 실적 | 0.05 | 0.27 | 0.10 |
| 구분 | 2024 | 2023 | 2022 |
|---|---|---|---|
| 목표 | 0.00 | 0.00 | 0.00 |
| 실적 | 0.57 | 0.77 | 0.57 |
2024년 산업재해통계 재해율(산업안전보건공단 제공): 전체 업종 0.48%, 제조업 0.59%
- 산출 방식: [재해자 수(사고재해자+질병재해자)/ 근로자 수] x 100
| 구분 | 2024 | 2023 | 2022 |
|---|---|---|---|
| 불합리적출(건) | 10,719 | 8,299 | 9,275 |
| 고충처리(건) | 10,407 | 8,233 | 9,058 |
| 불합리개선율 | 97% | 99% | 98% |
본 웹사이트는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합니다. 이를 위반 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등에 의해 처벌 받을 수 있습니다.